IOPS(Input/Output Operations Per Second, IOPS)는 HDD, SDD 또는 NVMe등 저장장치의 속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도는 측정 단위이다.
MB/s, MiB/s 또는 GB/s, GiB/s 등과 같이 초당 전송량과 함께 많이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위.
주어진 IOPS 값에서 초당 데이터 전송량을 계산하는 법
초당 데이터 전송량 = IOPS * 블럭크기(단위 데이터 용량)
블럭 크기 등 단위 데이터 용량에서 IOPS 를 계산하는 법
IOPS = 초당 데이터 전송량 / 블럭크기(단위 데이터 용량)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용어를 확실히 - 가용성(Availability) (0) | 2019.12.24 |
---|---|
용어를 확실히 - multi-tier 아키텍쳐 (0) | 2019.12.24 |
용어를 확실히 - stateful vs stateless (0) | 2019.12.24 |
컴퓨터 네트워크 4-2. 네트워크 계층 : 제어 평면 (0) | 2019.12.15 |
컴퓨터 네트워크 4-1. 네트워크 계층 : 데이터 평면 (0) | 2019.12.14 |
IOPS(Input/Output Operations Per Second, IOPS)는 HDD, SDD 또는 NVMe등 저장장치의 속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도는 측정 단위이다.
MB/s, MiB/s 또는 GB/s, GiB/s 등과 같이 초당 전송량과 함께 많이 최근 들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위.
주어진 IOPS 값에서 초당 데이터 전송량을 계산하는 법
초당 데이터 전송량 = IOPS * 블럭크기(단위 데이터 용량)
블럭 크기 등 단위 데이터 용량에서 IOPS 를 계산하는 법
IOPS = 초당 데이터 전송량 / 블럭크기(단위 데이터 용량)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용어를 확실히 - 가용성(Availability) (0) | 2019.12.24 |
---|---|
용어를 확실히 - multi-tier 아키텍쳐 (0) | 2019.12.24 |
용어를 확실히 - stateful vs stateless (0) | 2019.12.24 |
컴퓨터 네트워크 4-2. 네트워크 계층 : 제어 평면 (0) | 2019.12.15 |
컴퓨터 네트워크 4-1. 네트워크 계층 : 데이터 평면 (0) | 2019.12.14 |